•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1 )
    1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2 )
    2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3 )
    3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4 )
    4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5 )
    5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6 )
    6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7 )
    7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8 )
    8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9 )
    9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10 )
    10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11 )
    11



  • ̸
    11 Pg
    մϴ.
Ŭ : ũԺ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1 )
    1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2 )
    2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3 )
    3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4 )
    4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5 )
    5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6 )
    6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7 )
    7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8 )
    8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9 )
    9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10 )
    10




  • (ū ̹)
    ̸
    10 Page
    մϴ.
Ŭ : ݱ
X ݱ
巡 :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

레포트 > 인문사회 ٷΰ
ã
Ű带 ּ
( Ctrl + D )
ũ
Ŭ忡 Ǿϴ.
ϴ ֱ ϼ
( Ctrl + V )
 :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의 감식안.hwp   [Size : 63 Kbyte ]
з   11 Page
  1,500

īī ID
ٿ ޱ
ID
ٿ ޱ
̽ ID
ٿ ޱ


ڷἳ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중국문학에대한서포김
/

1. 서론

2. 자주적 감식안의 사상적 근거

3. 중국문학에 관한 실제비평과 그 성과

4. 자주적 세계인식과 자국어 문학론

5. 결론

/
2. 자주적 감식안의 사상적 근거
일찍이 서방에도 문화가 있다는 사실을 몰랐던 중국인들은 자기 나라가 四夷에 의해 에워싸인 유일한 문명국이라는 생각에서 ‘중국’이라고 불렀고, 또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세운 국가이므로 세계 속에 있다고 생각하여 ‘중국’이라고 했다. 고대 중국인들이 문명과 중심이라는 두 가지 잣대로 중국이 세계의 중앙에 있는 문명국이라고 본 것을 ‘中華主義’라고 하고, 자기와 주변을 ‘華’와 ‘夷’로 엄격하게 구분한 것이 ‘화이’ 관념이다. 이 때문에 과거 중국인들에게는 ‘아시아적 전망’, 특히 동아시아 상황 속의 중국을 바라보는 시각이 결여되어 있었고 중국과 지리적 경계를 맞대고 있는 우리나라 역시 우리 나름의 시각에 의해 중국에 대해 수평적으로 대하려는 관념이 부족했다. 백영서, 〈중국에 ‘아시아’가 있는가?〉, 정문길 외 3인 엮음, ≪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0), 56쪽.

17세기 조선 후기의 사상 체계는 張維가 “우리나라에서는 유식한 사람이나 무식한 사람이나 책을 끼고 글을 읽는 자라면 程朱만 욀 뿐 다른 학문이 있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어찌 우리나라 선비의 학풍이 진실로 중국보다 현명하겠는가? 그렇지 않다고 한다.” “我國則無論有識無識, 挾筴讀書者, 皆稱誦程朱, 未聞有他學焉. 豈我國士習, 果賢於中國耶, 曰非然也.” 〈谿谷漫筆〉1, 《谿谷集》(서울: 경문사, 1982), 570쪽.
고 언급했던 데서 알 수 있듯이, 이 시기 대부분의 지식인들은 주자학이라는 사상 체계로 편입되어 학문적 한계에 부딪히면서 주자학의 사상 체계에 대한 회의와 반론으로 시작하여 불교의 재등장으로 나타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心’의 실천적 경향을 강조하는 陽明學이 점차 부상하고 實學의 초기 형태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趙東一, 《韓國文學思想史試論》(서울: 지식산업사, 1990), 201쪽.

이러한 사상적 풍토에서 김만중은 주자학에 대해 비판적으로 수용함에 있어서 그 나름의 통합적 시각을 확보하…(생략)
고미숙, 〈조선후기 민족어문학론의 전개양상 ― 김만중에서 박효관까지 ―〉, 정규복 외, 《김만중문학연구》, 서울, 국학자료원, 1993.
金萬重 저, 洪寅杓 역주, 《西浦漫筆》, 서울, 일지사, 1987.
김병국 외, 《서포연보》, 서울, 서울대출판부, 1992.
김선기, 〈西浦 金萬重의 우리말 시가 옹호론〉, 史在東 편, 《西浦文學의 새로운 탐구》, 대전, 중앙인문사, 2000.
김원중, 《중국 문화의 이해》, 서울, 을유문화사, 2000.
ꠏꠏꠏꠏꠏꠏ, 《宋詩鑑賞大觀》, 서울, 까치, 1995.
ꠏꠏꠏꠏꠏꠏ, 《중국문학이론의 세계》, 서울, 을유문화사, 2000.
ꠏꠏꠏꠏꠏꠏ, 《중국문화사》, 서울, 을유문화사, 2001.
金春澤, 〈西浦漫筆序〉, 《西浦集》, 서울, 통문관 영인본, 1971.
裵秀燦, 〈김만중 문학의 이중성에 대한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8.
백영서, 〈중국에 ‘아시아’가 있는가?〉, 정문길 외 3인 엮음, ≪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0.
손찬식, 〈金萬重의 流配詩에 表象된 情緖〉, 史在東 편, 《西浦文學의 새로운 탐구》, 대전, 중앙인문사, 2000.
禹應順, 〈金萬重의 學問態度와 文學論의 性格〉, 丁奎福 외, 《金萬重文學硏究》, 서울, 國學資料院, 1993.
윤호진, 〈김만중 문학론 연구〉, 한국학대학원 석사논문, 1982.
정요일, 《한문학비평론》, 서울, 인하대 출판부, 1993.
정재서, 《동양적인 것의 슬픔》, 서울, 살림, 1996.
정규복, 〈西浦小說의 一元構造와 학문의 비판적 수용〉, 史在東 편, 《西浦文學의 새로운 탐구》, 대전, 中央人文社, 2000.
趙東一, 《韓國小說의 理論》, 서울, 지식산업사, 1991.
ꠏꠏꠏꠏꠏꠏ, 《韓國文學思想史試論》, 서울, 지식산업사, 1990.
崔信浩, 〈김만중의 시 세계〉, 정규복 해설, 《김만중 연구》
黃浿江, 〈金萬重의 文學과 儒家的 士意識〉, 丁奎福 해설, 《金萬重 硏究》, 서울, 새문사, 1992.


ڷ
ID : jiwp*****
Regist : 2011-02-26
Update : 2011-02-26
FileNo : 16141646

ٱ

연관검색(#)
중국문학에   대한   서포   김만중   감식안  


ȸҰ | ̿ | ޹ħ |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걸 326-6, 201ȣ | ä | : 0561ȣ
Copyright ÷Ʈ All rights reserved | Tel.070-8744-9518
̿ | ޹ħ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Tel.070-8744-9518